본문 바로가기
노무

근로기준법 위반, 나도 피해자일 수 있다? 꼭 알아야 할 사례와 대처법

by 이너무노무 2025. 4. 23.
반응형

직장 생활을 하면서 ‘이게 혹시 불법 아닌가?’ 싶은 상황, 한 번쯤 겪어보셨을 거예요.

그런데 단순히 ‘그냥 넘어가자’고 했다가 내 권리까지 놓치는 경우도 많습니다. 꼭 알아야 할 근로기준법 위반의 대표 사례와 대응 방법에 대해 쉽게 풀어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 위반이란?

근로기준법은 근로자의 최소한의 권리를 지키기 위한 법입니다. 임금, 근로시간, 해고 요건 등 직장생활의 핵심이 다 들어 있죠. 이 법을 어기면 단순한 규정 위반이 아니라, 법적 처벌까지도 받을 수 있는 중대한 문제가 됩니다.


자주 발생하는 위반 사례

1. 임금 체불
일한 만큼 돈을 못 받는다면, 말할 것도 없이 불법입니다. 급여 일부만 누락되거나 퇴직 후 정산이 안 되는 것도 포함됩니다.

2. 주휴수당 미지급
주 15시간 이상 일하고 하루도 결근하지 않았다면, 일주일에 하루 유급휴일이 주어져야 해요. 이를 무시하면 위반입니다.

3. 연차휴가 사용 방해
연차를 쓸 권리는 당연한 것! 사용을 막거나, 아예 시스템 자체가 없는 것도 문제입니다.

4. 근로계약서 미작성
입사했는데 근로계약서를 안 썼다? 이건 법 위반입니다. 모든 근로조건은 서면으로 정리되어야 하죠.

5. 부당해고
합리적인 이유도 없이 갑자기 해고를 당했다면, 이 역시 법적으로 싸울 수 있는 사안입니다.


신고는 어떻게 하나요?

걱정 마세요! 고용노동부에 온라인이나 방문 접수로 진정을 넣을 수 있습니다. 필요한 자료는 다음과 같아요.

  • 근로계약서 (없어도 문자나 카톡 기록 OK)

  • 임금 입금 내역, 출퇴근 기록, 해고 문자 등

진정을 접수하면 노동청에서 조사 후 시정명령을 내리거나 형사 고발이 이뤄질 수 있어요. 신고자는 보호되니 걱정 마시고요!


위반 사업주의 처벌은?

  • 형사처벌 : 징역 6개월 또는 벌금 500만원 이하

  • 과태료 : 비교적 경미한 위반도 최대 500만원

  • 사업장 명단 공개까지 당할 수 있어요.

현명한 대처법

  • 증거는 미리미리 확보하세요. (문자, 급여명세서, 녹음 등)

  • 대화 시 기록을 남기는 것도 중요해요.

  • 노무사 상담은 많은 경우가 무료예요. 꼭 활용하세요.

  • 해결 안 될 땐 고용노동부나 노동위원회에 정식으로 대응하세요.

마무리

우리의 권리는 우리가 지켜야 합니다. 회사에서 당연하다고 느꼈던 일이 사실은 불법일 수도 있어요. 알고, 준비하고, 대응하면 누구보다 당당해질 수 있습니다. 당신의 노동, 소중한 가치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