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근로자권리4

근로기준법 제55조 주휴일 조건과 주휴수당 계산법 직장인과 사업주 모두 반드시 알아야 할 법 조항 중 하나가 바로 근로기준법 제55조입니다. 이 조항은 ‘주휴일’에 관한 내용을 담고 있으며, 주휴일은 주휴수당이라는 임금과 직결되는 개념입니다.특히 2025년 최저시급이 10,030원으로 인상됨에 따라 주휴수당 금액도 함께 변동됩니다. 근로기준법 제55조의 핵심 내용과 적용 조건, 2025년 최저임금을 기준으로 한 주휴수당 계산법까지 정리해 봤습니다.근로기준법 제55조란?근로기준법 제55조 제1항은 다음과 같이 규정하고 있습니다.① 사용자는 근로자에게 1주에 평균 1회 이상의 유급휴일을 보장하여야 한다. 이 조항에서 ‘유급휴일’이란 근로자가 일을 하지 않아도 임금을 받을 수 있는 날을 의미합니다. 즉, 일정 조건을 충족하는 근로자에게는 법적으로 하루치 임금.. 2025. 4. 11.
근로기준법 휴일수당 1. 서론: 휴일수당이란 무엇인가?근로기준법에 따라 근로자가 정해진 휴일에 근무할 경우, 추가로 지급되는 수당을 휴일수당이라고 합니다. 근로자의 휴식권을 보장하고, 정당한 보상을 통해 과도한 노동을 방지하려는 목적을 가집니다. 특히 주말이나 공휴일 근무가 잦은 업종에서는 이 수당이 임금에 큰 영향을 줄 수 있어, 근로자와 사업주 모두 정확한 이해가 필요합니다. 휴일수당은 단순한 추가임금이 아니라, 근로자의 권리이자 법적 의무로 작용합니다. 2.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휴일의 종류근로기준법에서 말하는 휴일은 크게 법정휴일과 약정휴일로 나뉩니다.법정휴일은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의무적인 휴일로, 대표적으로 주휴일과 관공서의 공휴일이 있습니다. 5인 이상 사업장에서는 주 15시간 이상 근로하는 모든 근로자에게 주 1.. 2025. 4. 8.
근로기준법에 명시된 휴게시간 제도와 실무 적용 방법 서론 : 휴게시간이 중요한 이유근로자는 일한 만큼의 정당한 대우를 받을 권리가 있으며, 이는 단지 임금에 국한되지 않습니다. 바로 '휴게시간'도 중요한 권리 중 하나입니다. 충분한 휴게는 업무 효율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노동자의 건강과 안전을 지키는 핵심 요소입니다. 근로기준법은 이러한 휴게시간을 어떻게 규정하고 있는지, 실제 직장에서 어떻게 적용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근로기준법에서 정한 휴게시간 규정근로기준법 제54조는 근로자의 휴게시간에 대해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습니다.1일 근로시간이 4시간을 초과하면 30분 이상, 8시간을 초과하면 1시간 이상의 휴게시간을 부여해야 함휴게시간은 근로시간 도중에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해야 함즉, 휴게시간은 단순히 “쉬는 시간”을 넘어서, 근로자가 자유롭.. 2025. 4. 7.
부당해고 구제신청 절차 내 권리는 내가 지킨다! 부당해고, 이렇게 대응하세요!혹시 이런 상황 겪어보신 적 있으신가요? 평소처럼 열심히 일하던 어느 날, 갑작스럽게 "내일부터 안 나와도 돼요"라는 말 한마디로 직장을 잃게 된 경험... 너무 황당하고 억울하죠.아무런 설명도, 절차도 없이 해고된다면, 이는 명백한 부당해고일 수 있어요. 그런 상황에서 우리가 어떻게 대응할 수 있는지, 부당해고 구제신청 절차에 대해 정리해 봤습니다. 부당해고란 무엇인가요?직장에서 갑작스럽게 해고되었을 때, 정당한 사유 없이 진행되었다면 이는 명백한 부당해고입니다. 근로기준법에서는 근로자를 해고할 때 반드시 정당한 이유가 있어야 하며, 사전에 통보하거나 통보수당을 지급해야 한다고 명시하고 있어요. 특히 인원 감축이나 성과 부진 등을 이유로 할 경우에도.. 2025. 4. 6.